728x90

인증서를 다루다보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OpenSSL 입니다. OpenSSL 의 명령들중 자주 사용하는 것들을 기억해두면 생활이 편리해지고 퇴근시간이 빨라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서버나 로컬 터미널 환경에 미리 alias 로 몇 가지 등록해 두면 두고두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명령들을 몇 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로컬 환경의 RSA 인증서의 Private Key 확인하기

$ openssl rsa -in private_key_file.key -check
RSA key ok
writing RSA key
-----BEGIN RSA PRIVATE KEY-----
...

 

로컬 환경의 X509 인증서 (보통 SSL 인증서라 부르죠) 내용 확인하기

$ openssl x509 -in certificate_file.crt -text -noout
Certificate:
    Data:
        Version: 3 (0x2)
        Serial Number:
            11:22:33:aa:44:bb:55:66:77:88:99:cc
    Signature Algorithm: sha256WithRSAEncryption
        Issuer: C=BE, O=GlobalSign nv-sa, CN=GlobalSign RSA OV SSL CA 2018
        Validity
            Not Before: Apr 22 03:16:05 2021 GMT
            Not After : May 23 03:16:05 2022 GMT
        Subject: C=KR, ST=Seoul-si, L=Kangseo-gu, O=NoPD Corp, CN=*.nopd.me
        ...

 

원격지 환경의 인증서 Trust Chain 확인하기

$ openssl s_client -showcerts -connect www.naver.com:443
CONNECTED(00000003)
depth=2 C = US, O = DigiCert Inc, OU = www.digicert.com, CN = DigiCert Global Root CA
verify return:1
depth=1 C = US, O = DigiCert Inc, CN = DigiCert SHA2 Secure Server CA
verify return:1
depth=0 C = KR, ST = Gyeonggi-do, L = Seongnam-si, O = NAVER Corp., CN = *.www.naver.com
verify return:1
---
Certificate chain
 0 s:/C=KR/ST=Gyeonggi-do/L=Seongnam-si/O=NAVER Corp./CN=*.www.naver.com
   i:/C=US/O=DigiCert Inc/CN=DigiCert SHA2 Secure Server CA
-----BEGIN CERTIFICATE-----
...

 

 

원격지 환경의 X509 인증서 상세 내용 확인하기

$ openssl s_client -connect www.naver.com:443 | openssl x509 -noout -text
depth=2 C = US, O = DigiCert Inc, OU = www.digicert.com, CN = DigiCert Global Root CA
verify return:1
depth=1 C = US, O = DigiCert Inc, CN = DigiCert SHA2 Secure Server CA
verify return:1
depth=0 C = KR, ST = Gyeonggi-do, L = Seongnam-si, O = NAVER Corp., CN = *.www.naver.com
verify return:1
Certificate:
    Data:
        Version: 3 (0x2)
        Serial Number:
            05:75:b5:1c:cb:25:fc:9c:ef:cb:6e:63:fe:1a:45:29
    Signature Algorithm: sha256WithRSAEncryption
        Issuer: C=US, O=DigiCert Inc, CN=DigiCert SHA2 Secure Server CA
        Validity
            Not Before: May 30 00:00:00 2020 GMT
            Not After : Jun  8 12:00:00 2022 GMT
        Subject: C=KR, ST=Gyeonggi-do, L=Seongnam-si, O=NAVER Corp., CN=*.www.naver.com
        ...
        

 

 

 

728x90
728x90

웹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SSL 인증서의 사용은 이제 필수 아니 기본이 되었습니다. Let's Encrypt 와 같은 선택지가 생기면서 비용때문에 SSL 기반의 HTTPS 통신을 제공하지 않는 다는 것은 더이상 변명이 되기도 힘든 시기입니다. 물론 서버의 성능 이야기를 한다면 <정말 아주 약간>의 배려를 해줄 수 있긴 합니다만 근래의 컴퓨팅 파워와 비용을 생각하면 그리 와닿지는 않는 변명입니다. 

이렇게 SSL 인증서 사용이 기본이 되고 있지만 SSL 인증서를 서버에 설치하고 적용하는 것은 여전히 까다롭습니다. 까다로운 것은 다름아닌 익숙하지 않음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합니다. 개발은 늘 하는 일이지만 SSL 인증서는 아주 짧으면 3개월부터, 보통은 1년, 길면 2년정도 되어야 한 번 할까 말까한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눈치 채셨겠지만, 이 기간은 인증서를 교체해야 하는 주기와 일치합니다. 

이렇게 인증서가 잘 설치되었는지, 인증서에는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DevOps 시대에는 필수가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언급했던 것처럼 <어쩌다 한 번 하는 작업> 이다보니 무언가 공부를 하기도 애매하고, 공부를 해두었다 하더라도 정작 필요한 시점에는 써먹지 못하는게 현실입니다. 여기에 더하여 운영중인 서버에 인증서를 적용하는 전후에 무엇을 어떻게 확인하는게 좋은지도 사실 적당한 레퍼런스가 없습니다. 


퍼블릭으로 공개된 서버의 인증서 점검

가이드 드리고 싶은 내용은 1) 운영중인 서버의 인증서 상황 점검과 2) 교체하려는 인증서 구성이 문제 없는지 어떻게 확인하는가 하는 점입니다. 1) 번과 같이 운영중인 서버의 인증서 상황 점검은 무척 쉽습니다. Mac 이나 Linux 환경을 사용하고 있다면 openssl 명령 혹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메인 혹은 IP 를 가지고 있는 서버에 설치된 인증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인증서 정보 확인
% openssl s_client -connect www.naver.com:443

CONNECTED(00000003)
depth=2 C = US, O = DigiCert Inc, OU = www.digicert.com, CN = DigiCert Global Root CA
verify return:1
depth=1 C = US, O = DigiCert Inc, CN = DigiCert SHA2 Secure Server CA
verify return:1
depth=0 C = KR, ST = Gyeonggi-do, L = Seongnam-si, O = NAVER Corp., CN = *.www.naver.com
verify return:1
---
Certificate chain
...

openssl 을 이용하여 `s_client` 옵션을 주고 `-connect` 에 확인하고자 하는 도메인 정보와 포트정보 (보통은 443이죠) 를 넣으면 구성되어있는 인증서 체인정보 (서버 인증서 > 중간 인증서 > 루트 인증서) 와 인증서의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웹 브라우저로 접근 가능한 HTTPS 를 사용하는 모든 도메인 / 서버에 대해서는 이 명령을 통해 인증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체하려는 인증서 점검

인증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인증서 발급기관, 속칭 CA 로 부터 인증서를 발급받아 전달받게 됩니다. 보통 서버에 인증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1) 서버 개인키와 2) 서버 공개키 + 공개키를 인증할때 사용한 중간 인증서의 공개키를 합친 파일 을 서버에 설치하게 됩니다. 설치된 파일은 Apache Server 나 nginx 와 같은 웹 서버의 설정(configuration) 파일에 설치된 경로, 파일 정보, 사용할 Cipher Suite 정보등을 기술하게 됩니다. 

서버에 인증서 파일을 업로드 하고 설정 변경을 해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다보니 실수가 생기거나 오류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하곤 합니다. 그러면 드는 생각이 <교체하려는 인증서 파일을 미리 확인해 볼 수 없나?> 하는 것일겁니다. 앞서 본 것처럼 openssl 을 이용해서 파일 단위로 구성된 인증서를 미리 확인해보는 방법은 없을까요?

아래의 코드는 서버에 배포하기 위해서 중간 체인 인증서와 서버 인증서를 합친 파일을 점검해주는 간단한 스크립트 입니다. 서버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증서를 `openssl s_client` 명령으로 확인한 것처럼 서버 인증서, 중간 인증서가 문제 없는지, 혹은 체인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스크립트입니다. 참고로 스크립트의 출처는 kdecherf.com/blog/2015/04/10/show-the-certificate-chain-of-a-local-x509-file/ 입니다. 

#!/bin/bash

chain_pem="${1}"

if [[ ! -f "${chain_pem}" ]]; then
    echo "Usage: $0 BASE64_CERTIFICATE_CHAIN_FILE" >&2
    exit 1
fi

if ! openssl x509 -in "${chain_pem}" -noout 2>/dev/null ; then
    echo "${chain_pem} is not a certificate" >&2
    exit 1
fi

awk -F'\n' '
        BEGIN {
            showcert = "openssl x509 -noout -subject -issuer"
        }

        /-----BEGIN CERTIFICATE-----/ {
            printf "%2d: ", ind
        }

        {
            printf $0"\n" | showcert
        }

        /-----END CERTIFICATE-----/ {
            close(showcert)
            ind ++
        }
    ' "${chain_pem}"

echo
openssl verify -untrusted "${chain_pem}" "${chain_pem}"

스크립트를 만들고 chmod u+x #파일명# 으로 실행 가능하게 만드시기 바랍니다. 실행 가능한 스크립트가 되었다면 `./#스크립트파일명# #인증서파일명#` 형식의 명령을 통해 로컬에 존재하는 파일 형태의 인증서 + 중간 인증서를 s_client 옵션을 이용한 것처럼 검증할 수 있게 됩니다. 문제가 없다면 서버에 배포하고 웹 서버를 reload 하면 되겠지요!

728x90
728x90

HTTPS 통신을 위해서는 SSL/TLS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서버측에 Private Key 와 Public key 를 설치하고, 웹 브라우저로 대표되는 User-Agent 는 Public Key 를 전달받아 통신 구간의 암호화에 사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인증서에는 여러가지 정보들이 담겨 있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도메인 정보를 담고 있는 CN (Common Name) 입니다. 

네이버의 인증서 정보 - 일반 이름이 Common Name 입니다

 CN 이외에도 인증서에는 인증서와 관련한 여러가지 정보를 담기 위한 필드들이 존재합니다. 위의 네이버 인증서 정보에 나오는 주/도, 소재지, 조직 등의 모든 정보들이 인증서의 Public Key 에 포함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값 들입니다. 네, 당연히 전송되는 용량에 포함되는 값들입니다. openssl 명령으로 이 인증서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인증서의 발급 체계에 따라 서버 인증서, 중간 인증서, 루트 인증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버 인증서에 있는 C, ST, L, O 등의 값이 브라우저에 표시되었던 정보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가장 위에 있는 루트 인증서를 보면 OU Organization Unit 라는 값이 있는데요 여기에 www.digicert.com  이라는 인증서 발급사의 도메인 정보가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OU 를 직역하면 조직 단위 내지는 부서명 정도가 될 것 같은데 좀 엉뚱한 정보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죠? 회사에서 사용하는 LDAP 정보를 살펴봐도 보통 OU 에는 부서 혹은 조직 단위에 따른 편제 정보가 들어가 있곤 합니다. SSL/TLS 인증서 세계(?)에서는 이 필드를 원래의 목적과 다르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바이트의 전송이 관례적으로 있어 왔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겠습니다 (=우리의 소중한 데이터를 소모해 왔다는 것도...)

Digicert 에서는 더 이상 OU 를 쓰지 않겠다고 발표했군요

이 필드에 대한 논란이 있어온 이래 저렴한 인증서의 대명사였던 Sectigo (과거 COMODO 였죠) 는 진작에 필드를 제거했습니다. Sectigo 쪽에서는 SSL/TLS 인증서의 제품 정보를 표현하는 것과 같은 용도로 쓰이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역시나 제정되었던 표준, 약속과는 다른 방향이었습니다.

Digicert 는 대한민국발 인증서 사태이후 시만텍의 인증서 사업을 인수해서 운영하고 있는 가장 큰 CA 중 하나입니다. 이제 Digicert 가 OU 필드를 인증서 발급에 사용하지 않고 인증서 정보에도 포함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하니, OU 필드는 퇴출이 확정된 거라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아울러 사용자들은 자신의 인터넷 회선, 모바일 플랜에서 불필요한 전송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 것이기도 합니다. 

[ 참고 링크들 ]

 

Public certificates – Data entries that violate industry standards

If you only put a hyphen in the organization unit field, a CA will be unable to validate the value. However, if you enter an organization name that includes a hyphen in it (for example, Dev-Ops), this hyphen does not prevent a CA from validating your organ

docs.digicert.com

https://knowledge.digicert.com/alerts/ou-removal.html

 

DigiCert will deprecate the Organizational Unit field

Description DigiCert will deprecate the Organizational Unit (OU) field to simplify certificate ordering. Why is the OU field being removed? The OU field allows optional metadata to be stored in a certificate, however, it’s intended purpose is extremely l

knowledge.digicert.com

https://www.xolphin.com/news/Change_in_use_of_OU-fields_in_Sectigo_certificates

 

Change in use of OU-fields in Sectigo certificates

Change in use of OU-fields in Sectigo certificates 19 December 2019 As of December 15, 2019, Sectigo will change the use of OU fields for all new Sectigo certificates. From this date, it is no longer permitted to include non-organization-related informatio

www.xolphin.com

 

728x90
728x90

대세는 https 입니다. 새로운 http 표준인 http/2 (aka h2) 는 Clear Text 에 관한 규약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시장에 있는 대부분의 브라우저들은 TLS 기반의 통신을 http/2 를 이용하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 내걸고 있습니다. 프로토콜의 변화 뿐만 아니라 렛츠인크립트(Let's Encrypt)와 같은 무료 인증서 배포가 대중화되기 시작하면서 스트리밍(Streaming)과 같이 레이턴시(Latency)에 민감한 부문을 제외하면 전반적인 https 로의 전이가 그리 오래 걸릴 것 같지는 않습니다.


WWDC 2016 에서 애플은 ATS 에 대한 정책 강화를 통해, 앱의 인터넷 구간 통신 프로토콜로 https 를 강제하기 시작했습니다. 자세한 글을 [이곳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https 규약 자체가 보안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https 는 공개키 기반의 인증 기술을 활용하여 브라우저(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하는데 있어서 외부에서 침투할 수 없는 채널을 만들어주는 기술이지 사전에 악의적인 사용자가 서버측에 대한 탈취를 한 경우에는 큰 소용이 없습니다. 소위 맨 인더 미들 어택(MITM, Man In The Middle Attack)과 같은 것들이 그런 사고를 지칭합니다. 때문에 공개키 기반이라는 특성을 활용하여 SSL/TLS Handshake 를 하는 과정에 일종의 검증 절차를 넣어 그런 사고를 줄이고자 하는 것이 OCSP (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 입니다.


출처 : WWDC 2016 - 애플 시큐리티 세션


OCSP 는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하는데 있어서 인증서를 발행한 사업자, 소위 CA (Certificate Authority) 라고 불리우는 회사의 서버를 통해 내가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가 올바른 서버인지를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이 배경에는 각 CA 가 인증서를 발급하는 과정에 취하고 있는 다양한 확인 절차가 있습니다. 이 절차를 통해 발급된 인증서는 믿을 수 있다는 전제하에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부터 전달받은 인증서를 발급자에게 "유효하고 정상적인 인증서인가?"를 질의하는 절차입니다.


문제는 안그래도 SSL/TLS Handshake 로 https 통신을 시작하기 위한 비용과 시간이 큰 편인데 CA 의 서버까지 컨택하고 와야 하니 딜레이가 더 커지면서 웹 사이트나 서비스 이용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여기에 더하여 CA 의 서버가 과부하 등으로 제대로 응답하지 못하거나 이슈가 생긴 경우에는 OCSP 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절차를 조금더 단순화하면서도 보안을 여전히 보장해보자 하는 관점에서 등장한 것이 OCSP Stapling 입니다.


출처 : WWDC 2016 - 애플 시큐리티 세션


OCSP Stapling 은 "스테이플링" 이라는 이름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증서가 유효하다는 정보를 클라이언트가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가 CA 의 인증 서버를 통해 확인받고 이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증서를 전달할때 같이 주는 방식입니다. 클라이언트가 글로벌에 분포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라고 하면 서버는 상대적으로 훨씬 적은 수라는 점에서 CA - 서버간의 통신이 이슈가 될 상황이 훨씬 적을거라는 추정이 가능합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