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CDN(Content Delivery Network) 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상당히 진부한 느낌을 주는 소재입니다. 아카마이(Akamai), 라임라이트(LimeLight), 씨디네트웍스(CDNetworks)가 전세계 CDN 시장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으며 이 구도가 참 오랫동안 깨지지 않고 있는 시장이기도 합니다.
네트워크 전송망 자체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주고 받는 컨텐츠에 대한 압축이나 경량화 등에 대한 기술적인 진보가 많아지면서 예전에 비해 CDN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게 아니냐는 분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알게 모르게 이런 기술적인 진보의 이면에 CDN이 여전히 자리잡고 있으며 대용량 컨텐츠 전송이 필요한 산업들은 그 규모가 더 커지고 있는 중입니다.
Cloud CDN 과 기존 CDN의 차이는 뭘까?
결론부터 이야기를 하자면 Cloud CDN 과 기존 CDN 의 차이는 없습니다. 스트리밍이던 다운로드던 Cloud 라는 이름이 붙은 CDN 과 그렇지 않은 CDN 의 큰 차이는 분명히 없습니다. 그렇지만 Cloud CDN 은 Cloud 라는 단어가 가지는 여러가지 의미들 중 "Pay As You Go" 의 개념을 탑재(?)했다고 보면 적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존 CDN 들이 대부분 대역폭(Bandwidth) 단위로 약정 계약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계약된 대역폭을 다 쓰지 못하더라도 비용을 내야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또한 대역폭을 초과하는 경우 다음 약정 단위로 증가하기 때문에 비용 증가의 폭이 부담스러울 정도였지요. 하지만 Cloud CDN 은 전송량(Transfer)에 근간하여 과금을 하기 때문에 알차게 비용 지불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T cloud biz 의 Cloud CDN
국내 기업형 클라우드 시장은 통신사 중심으로 여전히 현재 진행형으로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CDN 도 마찬가지 인데요, 시장에 상품을 먼저 내놓은 것은 KT 입니다. KT 는 ucloud CDN 이라는 상품을 이미 런칭하여 시장에 내놓은 상태입니다. 조금 늦은 듯 하지만 SKT도 Cloud CDN 상품을 어제 출시해서 시장에서 일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SKT 가 내놓은 Cloud CDN 의 장점 중 하나는 다양한 소스 출처(Origin)를 사용하여 CDN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일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서버에 위치한 파일을 Origin 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고 아마존의 스토리지 서비스인 S3 에 올려둔 리소스의 버킷(Bucket)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거기에 더하여 최근에 출시한 SKT의 S3 호환 스토리지 서비스인 이지스토리지(Easy Storage)의 버킷도 사용할 수 있어 유연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loud CDN 은 어떻게 동작하는 것일까?
Cloud CDN 은 일반 CDN과 구동 원리가 동일합니다. 사용자는 CDN 관리자 화면을 통해서 CDN 을 통해 빠르게 전송하고 싶은 컨텐츠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CDN 서버는 등록된 위치에 있는 파일 혹은 버켓의 리소스들을 국내 ISP 별 데이터센터에 위치한 서버(이걸 엣지 서버라 부릅니다)에 복제하게 됩니다.
복제된 각 리소스들은 고유의 CDN URL 을 가지게 되는데요, 이 CDN URL 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을 하면 CDN 서버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위치 등을 감안하여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엣지 서버에서 리소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해주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CDN 은 사용자에게 빠른 속도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CDN 에 Cloud 라는 글자가 붙는 것에 대한 갑론을박은 참 많습니다. 하지만 Cloud 가 내포한 다양한 의미를 생각해 보면 Cloud 라 이름 붙이는 것도 그리 틀린 개념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아마존의 Cloud Front 에서 시작된 클라우드 서비스들의 CDN 전쟁은 이제 제대로 막이 오르는게 아닌가 싶네요~!
- NoPD -
네트워크 전송망 자체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주고 받는 컨텐츠에 대한 압축이나 경량화 등에 대한 기술적인 진보가 많아지면서 예전에 비해 CDN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게 아니냐는 분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알게 모르게 이런 기술적인 진보의 이면에 CDN이 여전히 자리잡고 있으며 대용량 컨텐츠 전송이 필요한 산업들은 그 규모가 더 커지고 있는 중입니다.
Cloud CDN 과 기존 CDN의 차이는 뭘까?
결론부터 이야기를 하자면 Cloud CDN 과 기존 CDN 의 차이는 없습니다. 스트리밍이던 다운로드던 Cloud 라는 이름이 붙은 CDN 과 그렇지 않은 CDN 의 큰 차이는 분명히 없습니다. 그렇지만 Cloud CDN 은 Cloud 라는 단어가 가지는 여러가지 의미들 중 "Pay As You Go" 의 개념을 탑재(?)했다고 보면 적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존 CDN 들이 대부분 대역폭(Bandwidth) 단위로 약정 계약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계약된 대역폭을 다 쓰지 못하더라도 비용을 내야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또한 대역폭을 초과하는 경우 다음 약정 단위로 증가하기 때문에 비용 증가의 폭이 부담스러울 정도였지요. 하지만 Cloud CDN 은 전송량(Transfer)에 근간하여 과금을 하기 때문에 알차게 비용 지불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고속도로 차선을 임대할 것인가 아니면 톨비만 낼 것인가? (http://www.thestar.com)
T cloud biz 의 Cloud CDN
국내 기업형 클라우드 시장은 통신사 중심으로 여전히 현재 진행형으로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CDN 도 마찬가지 인데요, 시장에 상품을 먼저 내놓은 것은 KT 입니다. KT 는 ucloud CDN 이라는 상품을 이미 런칭하여 시장에 내놓은 상태입니다. 조금 늦은 듯 하지만 SKT도 Cloud CDN 상품을 어제 출시해서 시장에서 일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SKT 가 내놓은 Cloud CDN 의 장점 중 하나는 다양한 소스 출처(Origin)를 사용하여 CDN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일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서버에 위치한 파일을 Origin 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고 아마존의 스토리지 서비스인 S3 에 올려둔 리소스의 버킷(Bucket)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거기에 더하여 최근에 출시한 SKT의 S3 호환 스토리지 서비스인 이지스토리지(Easy Storage)의 버킷도 사용할 수 있어 유연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loud CDN 은 어떻게 동작하는 것일까?
Cloud CDN 은 일반 CDN과 구동 원리가 동일합니다. 사용자는 CDN 관리자 화면을 통해서 CDN 을 통해 빠르게 전송하고 싶은 컨텐츠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CDN 서버는 등록된 위치에 있는 파일 혹은 버켓의 리소스들을 국내 ISP 별 데이터센터에 위치한 서버(이걸 엣지 서버라 부릅니다)에 복제하게 됩니다.
복제된 각 리소스들은 고유의 CDN URL 을 가지게 되는데요, 이 CDN URL 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을 하면 CDN 서버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위치 등을 감안하여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엣지 서버에서 리소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해주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CDN 은 사용자에게 빠른 속도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http://www.tcloudbiz.com
CDN 에 Cloud 라는 글자가 붙는 것에 대한 갑론을박은 참 많습니다. 하지만 Cloud 가 내포한 다양한 의미를 생각해 보면 Cloud 라 이름 붙이는 것도 그리 틀린 개념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아마존의 Cloud Front 에서 시작된 클라우드 서비스들의 CDN 전쟁은 이제 제대로 막이 오르는게 아닌가 싶네요~!
[ SKT - Easy Storage 참고 URL ]
아마존 S3 를 닮은 SKT 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Easy Storage"
아마존 S3 호환 클라우드 서비스, SK텔레콤 Easy Storage 에도 CloudBerry 를 쓸 수 있을까?
- NoPD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