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맥 환경에서 Mongo DB 를 설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입니다. 직접 압축된 Mongo DB 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이왕이면 패키지 매니저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여러가지로 간편합니다. 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brew 를 이용하여 손쉽게 Mongo DB 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 brew install mongodb


brew 를 이용하여 설치한 경우 환경 설정 파일이 별도로 저장됩니다. Mongo DB 의 데이터 파일은 아래 경로에 위치한 mongod.conf 파일에 지정된 dbpath 경로를 따르게 됩니다. 단, 이 파일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는 brew 를 이용하여 Mongo DB 서비스를 시작하는 경우이고, mongod 를 통해 데몬을 실행하는 경우는 로그인한 사용자 경로의 ~/data/db 경로가 기본 데이터 파일의 위치가 됩니다. 실행 방법에 따라 데이터 파일의 위치를 적절히 지정하시기 바랍니다.


/usr/local/etc/mongod.conf


systemLog:

  destination: file

  path: /usr/local/var/log/mongodb/mongo.log

  logAppend: true

storage:

  dbPath: /Users/nopd/dev/data/db

net:

  bindIp: 127.0.0.1


conf 파일에 dbpath 위치를 적절히 수정했으면 brew 를 이용하여 Mongo DB 를 서비스 형태로 실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brew services start mongodb

==> Tapping homebrew/services

Cloning into '/usr/local/Homebrew/Library/Taps/homebrew/homebrew-services'...

remote: Counting objects: 12, done.

remote: Compressing objects: 100% (8/8), done.

remote: Total 12 (delta 0), reused 7 (delta 0), pack-reused 0

Unpacking objects: 100% (12/12), done.

Tapped 0 formulae (40 files, 53.8KB)

==> Successfully started `mongodb` (label: homebrew.mxcl.mongodb)


프로세스에 Mongo DB 가 잘 실행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 ps -ef | grep mongo

  501  3609     1   0 10:44PM ??         0:01.75 /usr/local/opt/mongodb/bin/mongod --config /usr/local/etc/mongod.conf

  501  3648   924   0 10:52PM ttys001    0:00.00 grep mongo


Mongo DB 프로세스를 종료하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brew 를 이용하면 됩니다.


$ brew services stop mongodb

Stopping `mongodb`... (might take a while)

==> Successfully stopped `mongodb` (label: homebrew.mxcl.mongodb)


- NoPD -

728x90
728x90

웹 컨텐츠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의 대세가 h2 혹은 http/2 로 자리잡아 가면서 맥(Mac)의 쉘에서도 http/2를 테스트 해야하시는 분들이 많이 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알려진 내용에 따르면 curl 의 7.34.1 버전 이후에는 --http2 옵션을 통해 http2 로 서버와 통신을 하도록 강제할 수 있지만 환경에 따라서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curl 은 http/2 를 지원하기 위해 nghttp2 라이브러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우선은 nghttp2 를 설치해야 합니다.




nghttp2 가 설치되면 이를 이용해서 curl 을 다시 build 하거나 설치해야 합니다. 홈브루(Homebrew)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새로운 버전으로 빌드를 하면서 설치할 수 있으니 아래의 커맨드를 참고해서 설치를 진행하도록 합시다. 아래와 같이 설치한 후 brew info curl 명령을 통해 nghttp2 에 초록색 체크박스가 잘 들어왔다면 일단 설치는 제대로 잘 된거라 봐도 되겠습니다.





그런데 여기까지 하고나서도 curl 을 --http2 옵션으로 실행했을 때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이라고 에러가 떨어진다면 심볼릭 링크를 한번 교체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환경 설정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따라 sudo 를 통해서 권한 상승을 해야 할 필요도 있으니 상황에 따라 적절한 옵션으로 심볼릭 링크를 교체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여기까지 해서 마무리가 잘 되었다면 curl --http2 옵션으로 http2 가 활성화된 사이트들, 예를 들어서 아카마이의 https://http2.akamai.com 이라던가 구글 메인 페이지 (https://www.google.com) 쪽으로 요청을 던져볼 수 있게 되셨을 겁니다. 일단 개인적으로 여기까지 해서 문제는 없었습니다만 다른 문제를 겪는 분이 계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NoPD -




728x90
728x90

CentOS 환경에서 NPM (node package manager) 와 node.js 를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해 봅니다. 환경 셋업을 자주 하지 않다보니 필요할때마다 겪는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 블로그에 적어둡니다 ^^;; 주기적으로 디지털 오션을 통해서 서비스 받고 있는 뉴욕 가상머신과 싱가폴 가상머신을 깨끗하게 정리하곤 합니다. 왠지 대청소를 하는 기분이라... 이렇게 해놓고 나면 바로 밀려오는 것이 패키지 설치에 대한 귀차니즘이죠.


간단한 테스트를 할일이 있어 DNS 셋업을 하고보니 가상머신에 아무런 패키지도 설치되지 않은 클린 설치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미지를 구워 놓아도 되련만, 그 이미지 조차도 왠지 찜찜해서 종종 하는 작업이 왠지 모르게 아깝게 느껴집니다. 오늘 정리하는 내용은 CentOS 에서 (버전은 6.7 입니다) yum repository 를 업데이트하고 nodejs, npm 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 sudo yum install epel-release


yum 에 설정된 기본 repository 에는 nodejs 와 npm 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신 epel repository 에 존재하는데요, epel repository 를 사용하기 위해서 위의 명령으로 epel 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봤습니다.


# yum install nodejs npm --enablerepo=epel


yum 명령으로 nodejs 와 npm 을 한번에 설치해 보겠습니다. 새롭게 준비한 epel repository 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yum 옵션으로 --enablerepo=[repository이름] 을 지정해 주셔야 합니다. 위의 커맨드처럼 입력하시면 되겠죠? 약간의 시간이면 두 패키지와 종속된 패키지들이 모두 설치가 완료됩니다. 중간중간 인터렉티브하게 물어보는 질의에는 y 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 npm install -g n


간편한 nodejs 버전 관리를 위해서는 n 을 설치해 주어야겠지요? 이제 npm 이 생겼으니 npm install -g n 명령으로 n 을 설치해 줍니다. 다른 지역의 가상머신과 node.js 버전을 맞춰주기 위해서 4.4.2 버전을 설치했습니다. 


# n 4.4.2


     install : node-v4.4.2

       mkdir : /usr/local/n/versions/node/4.4.2

       fetch : https://nodejs.org/dist/v4.4.2/node-v4.4.2-linux-x64.tar.gz

######################################################################## 100.0%

   installed : v4.4.2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기 위해서는 node.js 의 핵심 패키지가 필요하겠죠. express 패키지가 그나마 익숙해서 요것까지 설치를 했습니다. 


# npm install -g express


- NoPD -

728x90
728x90

Node 의 새로운 버전이 릴리즈 되었습니다. Node 는 새로운 버전이 발표될 때마다 LTS (Long Term Support) 버전과 Stable 버전으로 나누어 공개하곤 합니다. 이번에 발표된 버전은 v4.4.2 (LTS) 버전과 v5.10.0 (Stable) 버전입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습니다만 Stable 버전의 경우 이름의 뜻과는 달리 실험적인 기능들을 비롯한 덜 안정적인 기능들이 많이 들어간 버전이며 LTS 버전이 안정적인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Node 의 버전을 업데이트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겠습니다만 개인적으로 추천드리는 방법은 n 을 이용하여 업데이트 하는 방법입니다. n 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인 예전 포스팅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글 : http://ondemand.tistory.com/220) . n 은 여느 Node 패키지와 마찬가지로 NPM 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간만에 또 한번 싱가폴에서 열심히 놀고 있는 서버에 접속을 했습니다. 업데이트를 하기 전 n 을 이용하여 현재 설치되어 있는 버전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n 명령을 실행하면 현재 설치되어 있는 버전이 열거되며 활성화 되어 있는 버전은 특별히 밝은 색상과 o 표시가 되어 있어 식별이 쉽습니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버전이 두가지 이고 활성화된 버전은 4.2.4 로 확인됩니다. 새로 출시된 버전이 4.4.2 버전이니 n 명령을 이용해서 새로운 버전의 LTS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활성화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명령은 무척 간단해서 n 뒤에 파라메터로 버전명을 기술해 주면 됩니다. 






약간의 시간동안 다운로드를 받고 설치하는 과정이 끝나면 준비 완료입니다. 다시 한번 n 명령을 이용해서 버전을 확인해보면 새로운 버전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활성화까지 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느낌이 오셨겠지만 n 을 이용하면 현재 머신에서 어떤 버전을 활성화 해서 사용할 것인지도 쉽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설치된 버전 목록에서 버전 넘버를 확인한 후, 다시 한번 n 명령 뒤에 해당 버전을 기술해 주면 됩니다. 저는 0.10.28 버전으로 다시한번 전환해 봤습니다.




네, 참 쉽습니다 ;-) 


Nodejs.org 공식 웹사이트에서 새로운 릴리즈 확인해보기 [바로가기]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