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IDG 에서 SK텔레콤 T cloud biz 가 제공하는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 "이지 디스크"를 심층 취재 했네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왜 블록 스토리지를 사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SK텔레콤 T cloud biz 는 어떻게 그것을 구현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입니다.

델(Dell)의 이퀄로직이라는 어플라이언스를 사용했는데
이 제품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도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업 내부 인프라에서 블록 스토리지를 구현하는 것에 대해서도
인사이트를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IDG 리포트 - 이지디스크 사례로 본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미래

[다운로드 받기]


- NoPD -
728x90
728x90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하거나 성공을 담보할 수 없는 과제를 위해 물리적인 장비를 투자하는 것은 이제 더 이상 당연한 것이 아닌 시대가 되었습니다. 아마존을 비롯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사업자들을 통해 가상머신을 할당받고, 가상의 서버들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점차 확장해 나가는 것이 현재의 대세이자 일반적인 방법론이 되었습니다.

가상머신 혹은 클라우드 서버가 많이 필요한 이유중 하나는 사용자들의 접속을 처리하기 위해서 입니다. 단위 서버당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대역폭은 분명 제약이 있고 서버가 세션을 관리하는 것은 분명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부하 분산을 위해 로드밸런서(Load Balancer, L4 Switch 등)를 사용하고 산술적인 서버 수량을 늘림으로써 사용자 접속 처리를 담보하곤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간과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서버 하나하나의 개체인 인스턴스(Instance)를 늘리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이를 동일한 설정으로 맞추고 유지하는 것은 다른 이슈입니다. 특히 데이터를 1개 이상의 논리적인 하드 드라이브에 나누어 저장하고 있었다면 더욱 큰 이슈가 됩니다. 가상머신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파일(예: VMware의 경우 vmdk, Microsoft의 경우 VHD 또는 VHDX)로 만들어집니다. 디스크를 여러개를 사용하려면 이 파일들이 복수개가 되는 것이고 서버 인스턴스 확장에 따라 디스크도 동일하게 복제 되어야 하는 이슈가 발생합니다.

많은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들은 서버 인스턴스 자체의 안정성 유지를 위해 가상머신이 구동되는 스토리지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것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는 비용과 직결된다는 의미로 해석해도 무방합니다. 고객 입장에서는 추가 스토리지에 대한 복제 이슈와 비싼 비용의 타협점을 찾기 무척 힘든 상황으로 내몰리게 됩니다. 이런 것을 해결하고자 만들어진 유연한 스토리지가 바로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입니다. 아마존이 제공하는 EBS (Elastic Block Storage)가 가장 널리 알려진 블록 스토리지 제품입니다.

[ 블록 스토리지의 특징 ]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블록 스토리지가 주는 장점은 여러가지입니다. 첫번째는
유연함입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가상머신의 루트 드라이브는 루트 드라이브일 뿐입니다. 물리적인 장비 기준으로 볼 때, 서버가 망가지면 디스크를 빼서 다른 서버에 옮기면 됩니다. 데이터도 당연히 살아있습니다. 그런데 가상머신의 루트 드라이브는 가상머신과 운명을 함께 합니다. 데이터만 별도로 백업하기 위해서는 파일, 폴더 단위의 백업 솔루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데이터 백업을 하는데 운영체제 파일까지 백업할 필요는 없겠지요? 블록 스토리지는 연결, 해제를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무척 유연합니다. 가상머신에 문제가 생기면 연결 해제(Detach)후 다시 연결(Attach)하면 됩니다.

두번째는 경제성입니다. SK텔레콤의 이지 디스크는 상당히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이는 스토리지가 티어링(Tiering)이라는 기술을 통해서 핫(Hot) 컨텐츠와 콜드(Cold) 컨텐츠를 구분하여 디스크 형태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콜드 컨텐츠는 SATA 와 같은 속도는 다소 느리지만 비용이 낮은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핫 컨텐츠는 SAS 와 같은 다소 비싼 단가이지만 고속 스토리지에 저장하기 때문입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주 엑세스되는 컨텐츠를 알아서 빠른 스토리지에 저장해주고 그렇지 않은 컨텐츠는 저렴한 스토리지에 저장해주기 때문에 저렴하게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유연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블록 스토리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는 명확합니다.  기존에 물리적인 장비에서 우리가 해왔던 경험을 그대로 가상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백업과 복제 등 클라우드 혹은 가상 환경이 제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메리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용산에서 하드디스크를 하나 사서 내 컴퓨터에 설치하는 것처럼 이제 가상머신에도 필요한 만큼 하드디스크를 추가 해서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SKT 클라우드 서비스, T cloud biz 의 블록 스토리지 "이지 디스크" [자세히 살펴보기

 
- NoPD - 
728x90
728x90
T cloud biz 에서 클라우드 서버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네요.
일정 등급 이상 서버 2대 이상을 신청하면 15만원 상당의 포토 프린터를 증정한다고 합니다.
혹시 새로운 서비스 런칭을 위해 클라우드 서버는 고민하고 계셨다면
이번 기회에 서버 신청하시고 포토 프린터도 받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믿고 시작하는 당신의 첫 클라우드, T cloud biz 서버 구매 이벤트 [바로가기] >


728x90
728x90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응용 서비스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의 유연한 자원 활용과 확장성을 이용하여 많은 컴퓨팅 자원이 요구되는 분야에 응용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SK텔레콤이 엊그제 체험 서비스로 오픈한 클라우드 기반의 동영상 인코딩 서비스인 Cloud Encoding 은 클라우드 인프라를 이용하여 플랫폼(PaaS, Platform As A Service)을 서비스 하는 것에 대한 좋은 사례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Cloud Encoding 체험 서비스는 아직까지는 제한적인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영상 인코딩을 요구하는 사용자는 동영상에 대한 고정된 URL 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방법으로는 아마존의 스토리지 서비스인 S3 (Simple Storage Service) 나 SK텔레콤이 직접 제공하고 있는 S3 호환 서비스인 Easy Storage 에 파일을 올려두는 것도 있을 것이고 DDNS(Dynamic DNS)를 이용해 집에서 고정 URL 을 제공하는 방법 혹은 자신의 서버에 동영상을 올려놓는 방법이 있습니다

 
 
Cloud Encoding 을 위한 소스 URL 이 준비되면 해당 URL 정보를 인코딩 요청 양식에 기록해 넣습니다. 제공된 URL 은 Cloud Encoding 서비스가 HTTP 혹은 HTTPS 방식으로 Request 를 전달후 파일을 획득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인코딩 서버 팜을 이용하여 요구된 인코딩 사양에 대하여 빠른 속도로 인코딩을 진행하게 됩니다. 인코딩이 완료된 파일은 SK텔레콤이 제공하고 있는 Easy Storage 에 저장된 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 을 이메일로 전달받게 됩니다. 시험삼하 700MB 정도 용량의 파일을 인코딩 요청하고 인코딩 완료된 파일을 수신하기까지 체감 시간이 2~3분 내외였던 것 같습니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인코딩의 세부 사양은 위에 정리된 사양과 같습니다. 향후 정식 서비스로 출범하게 되면 더 다양한 인코딩 스펙에 대하여 동시에 제공하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동영상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면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지속적이고 빠른 속도의 인코딩을 요구하는 사업자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클라우드의 유연한 인프라 확장성과 자원 효율성을 통해 많은 고객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트랜스코딩 플랫폼의 출현이 기대가 됩니다!

- NoPD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