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가끔 사용중인 리눅스 배포판의 버전과 커널의 버전 확인이 필요할때가 있습니다. 워낙에 배포판도 많고 커널의 버전도 다양하기 때문에 환경에 적합하게 구성된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이슈가 생길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yum 이나 apt-get 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겠지만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빌드할 필요가 있을때는 버전을 잘~ 맞추어줄 필요가 있습니다.


Cent OS 를 이용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명령을 이용해서 운영체제의 버전과 커널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dhat 과 같은 다른 배포판 역시 비슷한 네이밍 컨벤션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폴더에서 어렵지 않게 관련된 파일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꾸 까먹게 되어 블로그에 기록해 둡니다. 누군가에겐 또 도움이 되리라 믿으며..!!



#cat etc/centos-release

#uname -r 



728x90
728x90
가끔 리눅스나 Mac OS 환경에서 배치파일을 만들어야 할 때가 있다.
자주 쓰면 잊어버리지 않을텐데, 가끔 쓰다보니 할때마다 자꾸 찾는거 같다.

chmod a+x [파일명]


chmod 옵션중 a 는 모든 유저를 나타내며
x 옵션이 Execute 를 나타내는 옵션이다.
까먹지 말고 적어두자 ^^


참고 : 
Unix Executable File / Linux Executable File / Mac Executable File

- NoPD -
 
728x90
728x90
리눅스 계열의 운영체제를 사용하다 보면 참 편리하게 쓰는 것이 apt-get 이나 yum 과 같은 패키지 관리자다. 업데이트가 필요한 패키지를 확인해주고 간단한 명령으로 설치해주는 것은 바쁜 현대인들(?)에게 무척이나 반가운 기능일 수 밖에 없다. 당연히 같은 피가 섞여 있는 맥 운영체제 Mac OS 에도 둘 중 하나는 있겠지 했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그러던 중 찾은 것이 바로 Homebrew 라는 도구. 맥 운영체제인 OS X 에서 사용할 수 있는 루비 기반의 패키지 관리도구다. 사용방법은 apt-get 이나 yum 과 크게 다르지 않다. Ruby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보다 체계적인 사용도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 설치 방법도 간단해서 굳이 Hoembrew 웹사이트 (http://brew.sh/) 를 방문할 필요도 없이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끝.

 
이제 Mac OS X 에서도 간단하게 패키지를 설치하는 기쁨을 맛보도록 해보자. 아직도 내겐 너무 어색한 Mac OS X ~

- NoPD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