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근래에 제공되는 대부분의 서비스는 SSL 혹은 TLS 를 이용하여 보안된 채널로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물며 개인이 만드는 토이 프로젝트부터 대학교에서 과제로 제출하는 웹 사이트도 HTTPS 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찾아보기 힘듭니다. 네, 물론 이 와중에서 Non-secure 로 버티는 곳들도 <당연히> 있긴 합니다. 

예전에는 HTTPS 를 이용하기 위해 인증서를 구매해야 했고, 보통 년단위의 갱신을 하다보니 비용 부담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3개월마다 주기적으로 인증서를 업데이트 받는 조건으로 도메인 단위 인증서 (Domain Validation) 를 무료로 발급해주는 렛츠인크립트 Let's Encrypt 의 대중화 이후, 인증서 구매 비용도 단지 핑계가 된지 오래입니다. 


하지만, 이런 인증서 구매와 별개로 서버측에 SSL 설정을 구성하고 적용하는 것은 생각보다 까다롭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한번 설정해 두면 수정하지 않아서 보안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설정을 잘못하는 바람에 특정한 단말기들이 서비스에 접근하지 못하는 장애를 겪기도 합니다. 원체 그 파급력이 크다보니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인증서 교체에 대해서 전문가를 찾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이러한 엔지니어들의 고충을 잘 알고 있는 곳이 모질라 재단이기 때문일까요? 모질라에서 제공하는 SSL 설정 생성기는 이 모든 두려움으로부터...는 아니겠지만, 기본적인 설정 실수로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여러분의 친구,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양하다! 

일단 이 도구가 커버해주는 서버측 소프트웨어의 범주가 무척 넓습니다. 널리 사용되는 아파치나 nginx 에서부터 AWS 의 ALB, ELB 도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HAProxy 와 Go 기반으로 서버측 엔드포인트를 만들때 쓸 수 있는 옵션들도 제공하고 있어 왠만한 서버측 도구의 SSL 설정에 활용도가 높아 보입니다. 

가운데 위치한 Mozilla Configuration 은 SSL/TLS 의 어떤 버전을 지원할 것인가에 따라 선택 가능한 항목입니다. 이 항목의 변경은 설정 생성시에 추가되는 Cipher Suite 의 종류에 영향을 주는 부분입니다. SSL/TLS 버전이 상위로 갈 수록 취약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하지만, 오래된 사용자들은 SSL/TLS 의 상위 버전 자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 분포에 따라 취약한 알고리즘을 써야 하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가장 오른쪽에는 각 서버 어플리케이션의 버전에 따라 달라진 부분을 반영하기 위해 버전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입력창이 위치해 있습니다. HSTS 와 OCSP Stapling 을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 옵션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도 눈에 띕니다. 

# generated 2021-02-08, Mozilla Guideline v5.6, nginx 1.17.7, OpenSSL 1.1.1d, modern configuration
# https://ssl-config.mozilla.org/#server=nginx&version=1.17.7&config=modern&openssl=1.1.1d&guideline=5.6
server {
    listen 80 default_server;
    listen [::]:80 default_server;

    return 301 https://$host$request_uri;
}

server {
    listen 443 ssl http2;
    listen [::]:443 ssl http2;

    ssl_certificate /path/to/signed_cert_plus_intermediates;
    ssl_certificate_key /path/to/private_key;
    ssl_session_timeout 1d;
    ssl_session_cache shared:MozSSL:10m;  # about 40000 sessions
    ssl_session_tickets off;

    # modern configuration
    ssl_protocols TLSv1.3;
    ssl_prefer_server_ciphers off;

    # HSTS (ngx_http_headers_module is required) (63072000 seconds)
    add_header Strict-Transport-Security "max-age=63072000" always;

    # OCSP stapling
    ssl_stapling on;
    ssl_stapling_verify on;

    # verify chain of trust of OCSP response using Root CA and Intermediate certs
    ssl_trusted_certificate /path/to/root_CA_cert_plus_intermediates;

    # replace with the IP address of your resolver
    resolver 127.0.0.1;
}

 

TLS 1.3 을 기준으로 NGINX 를 위한 설정을 생성해 보았습니다. HTTP 로 인입된 경우 HTTPS 로 스킴을 바꾸도록 301 리디렉션 하는 서버 컨텍스트가 앞에 위치해 있고, 443 포트로 HTTP/2.0 을 지원하는 엔드포인트를 열고 있습니다. 센스있게 IPv6 를 위한 포트 바인딩도 함께 추가되어 있네요!

그 외의 지시자들은 일름에서 유추할 수 있는 것처럼 프로토콜 버전의 지정, 인증서 파일의 위치, 세션 티켓 사용을 위한 옵션들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서버측의 prefer_server_ciphers 가 off 로 생성된 부분은 그 의도가 있을텐데 (아마도 NGINX 에서 TLS 1.3 사용시 기본 Cipher Suite 의 영향?) 자세한 건 문서를 좀 살펴봐야 할 것 같네요.


우리가 코드를 수정하거나 서버의 설정을 변경할 때 늘 하는 말이 있습니다. <지금 니가 무슨짓을 하는지 모른다면, 아무것도 하지 말아라> 라는 말이 바로 그것입니다. 각 설정이나 코드가 존재하는 것은 다 이유가 있어서 입니다. (예, 정말 가끔 이유 없이 존재하는게 없진 않습니다만...) 자동 생성된 설정을 참고하고 사용하는 것은 좋지만, 추가된 설정 항목들이 "왜" 들어갔는지에 대해서는 한번쯤 문서를 찾아보고 고개를 끄덕인 다음 Ctrl-C, V 하는 아름다운 자세를 견지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728x90

nginx 에서 mirror 모듈을 쓰기 위해 사용중인 버전 (1.12.x) 에서

해당 모듈을 지원하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했습니다.

 

특별히 문제가 없겠지라고 생각했지만 역시 문제가 생겼으며

에러 메세지에서 단서를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_=

 

sudo systemctl status nginx 명령으로 에러 원인 확인!

에러의 내용을 붙여넣어 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설치된 모듈의 버전과 업데이트를 통해 설치된 버전이 차이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적절한 경로의 버전을 로딩하게 하는 방법을 찾는 것보다 더 쉬운 방법은 없을까 찾아보니 역시 있더군요.

 

[emerg] module "/usr/lib64/nginx/modules/ngx_http_geoip_module.so" version 1012002 instead of 1016000 in /usr/share/nginx/modules/mod-http-geoip.conf:1

 

모듈로 인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가장 쉽게 처리하는 방법은 재설치!

yum 을 이용해서 nginx 공식 레파지토리를 썼기 때문에

일단 현재의 모든 모듈을 삭제하고 공식 레파지토리의 모듈로 재설치를 진행했습니다. 

 

// 설치된 모듈을 삭제합니다
$ sudo yum remove nginx-mod*

// 공식 레파지토리에서 새로운 모듈을 설치합니다
$ sudo yum install nginx-module-*

 

이후 nginx 를 재기동하니 문제없이 로딩 완료!

참고로 공식 레파지토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레파지토리 정보를 등록하시면 됩니다. 

mainland 버전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두번째의 섹션은 불필요합니다.

 

// 경로 : /etc/yum.repos.d/nginx.repo
// 참고 : http://nginx.org/en/linux_packages.html#RHEL-CentOS

[nginx-stable]
name=nginx stable repo
baseurl=http://nginx.org/packages/centos/$releasever/$basearch/
gpgcheck=1
enabled=1
gpgkey=https://nginx.org/keys/nginx_signing.key

[nginx-mainline]
name=nginx mainline repo
baseurl=http://nginx.org/packages/mainline/centos/$releasever/$basearch/
gpgcheck=1
enabled=0
gpgkey=https://nginx.org/keys/nginx_signing.key

 

 

 

728x90
728x90

HTTP/2 시대가 시작되면서 다양한 성능 개선을 위한 사례들을 요즘 찾아보고 있습니다. QUIC 도 그중 하나이고 TCP Fast Open 이라는 표준 역시 살펴봐야 할 사례인 것 같습니다. 공부할 건 많고 시간은 없고 머리는 안돌아가고... 그래도 일단 필요한 링크들을 모아봅니다. 먼저 공부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정리해서 공유를... 굽신...


# TCP Fast Open - TCP 의 3 way handshake 로 발생하는 RTT 및 Latency 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 / Handshake 할때부터 컨텐츠를 담아 전달해 보자는 것이 요지.



출처 : 구글 기술문서 (아래의 링크5)



링크1 - RFC 7413 - TCP Fast Open (Experimental) : https://tools.ietf.org/html/rfc7413

링크2 - Cent OS 7 + nginx 환경에서 TCP Fast Open 활성화 하기 : https://goo.gl/pRmWZO

링크3 - TCP Fast Open 위키피디가 : https://en.wikipedia.org/wiki/TCP_Fast_Open

링크4 - curl 7.49.0 의 특정 운영체제 버전에서 옵션 제공 : https://curl.haxx.se/libcurl/c/CURLOPT_TCP_FASTOPEN.html

링크5 - 구글에서 발표된 기술 문서 : http://goo.gl/rz1sqX

링크6 - Keycdn 의 아티클 (일종의 요약) : https://www.keycdn.com/support/tcp-fast-open/


- NoPD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