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AWS Route53은 Authoritative DNS로도 사용될 수 있고 Dynamic DNS 혹은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er)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쿼리 수량에 따라 단가가 매겨지고 (=TTL조정으로 어느정도 비용 통제도 할 수 있...) 레코드 수량에 대한 비용 부담이 없기 때문에 요청량이 많지 않은 경우 비용이 꽤 저렴한 편이기도 합니다.

여튼, 이런저런 목적으로 Route53을 사용하게 되면 Route53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고 싶어지는게 인지상정입니다. CloudWatch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Route53의 메트릭들이 있긴 하지만 DNS 쿼리 자체에 대한 성공, 실패와 같은 모니터링은 CloudWatch의 메트릭으로는 모니터링이 불가합니다. 

서버의 Access Log를 분석하는 것처럼 Route53의 쿼리 질의 및 결과를 모니터링 하려면 CloudWatch가 제공하는 Logs기능을 이용해야 합니다. Route53에 구성한 Zone으로 들어오는 요청을 CloudWatch Logs로 수집하고 다시 이것을 ElasticSearch 등의 데이터 분석 도구로 전달하는 모니터링 체계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Route53 Hosted Zone에 Query Logging 설정하기

Route53에서 관리하는 Zone을 Hosted Zone이라 부릅니다. 개별 레코드를 만들어 Route53에 위임하는 경우도 있고, 혹은 최상위 Zone 자체를 Route53에서 관리(=Authoritative NS)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느 경우던 기본 단위는 Hosted Zone이고 로그 수집의 최소 단위도 Hosted Zone입니다.

Route53에 구성한 Hosted Zone에 대하여 로깅을 하기 위해서는 AWS CloudWatch Logs를 이용해야 합니다. CloudWatch Logs로 로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Route53에서 로그를 전송하고자 하는 Hosted Zone 관리 화면으로 이동하여 기능을 활성화 해야 합니다. Hosted Zone 관리 화면에 진입하면 우측 상단에 `Configure query logging`이라는 버튼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uery logging 기능 활성화는 무척 단순합니다. 새로운 Log Group 을 만들기 위해 `Create log group`을 선택하고 만들고자 하는 Log Group의 이름을 입력하면 됩니다. 이미 만들어 둔 Log Group이 있다면 해당 Log Group을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다만 그 경우 다른 성격의 Log가 섞일 수도 있겠죠?

Log Group의 이름은 식별이 용이하도록 Place Holder에서 가이드 하는 것처럼 `/aws/route53/#zone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물론 `/aws`를 넣는것이 필요한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여튼 그렇습니다. 값을 입력하고 하단의 `Create`버튼을 누르면 Log Group이 생성되고 다시 Hosted Zone 관리 화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CloudWatch Logs에서 생성된 Log Group 확인

Route53 관리 화면에서 Log Group 생성을 마쳤으면 CloudWatch 관리 화면으로 이동하여 생성된 Log Group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CloudWatch 관리 화면의 왼쪽 메뉴중 `Logs` 하위에 있는 Log groups 메뉴를 선택합니다. 생성되어 있는 Log Group 목록이 출력되면 검색창에 /aws/route53 을 입력하거나 Zone 이름을 입력하여 Log Group을 찾을 수 있습니다.

 

생성된 로그 그룹에 들어가보면 이미 로그가 쌓이고 있는 놀라운 현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여느 인터넷 서비스가 그러하듯 DNS의 세계 역시 수많은 크롤러, 봇들이 돌아다니며 취약점을 가진 서버들을 찾거나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로그가 쌓이고 있다고 해서 당황할 필요는 없겠죠?

 

여기까지 완료 되었다면 로그를 모으는 과정은 완료되었다고 보셔도 됩니다. 이제 이렇게 모은 로그를 AWS가 제공하는 데이터 관련 도구로 전달하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CloudWatch Log는 구독 필터(Subscription filters)를 통해 AWS의 다른 제품으로 로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그중 가장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 Elasticsearch 로 전송하는 방법입니다. 물론 Kinesis Data Stream으로 전송하는 `Kinesis subscription filter`도 있고 Kinesis Data Firehose로 전송하는 `Kinesis Firehose subscriptino filter`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쪽으로 전달하여 로그를 분석하는 것인 본 포스팅 시리즈에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2022.04.21 Update)
AWS의 ElasticSearch가 OpenSearch로 바뀌면서 Actions 메뉴도 변경이 되었습니다!

 

여기부터는 조금 설정할 것들이 많아집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ES Cluster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필요한 작업들을 하나씩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어지는 글...

 

(#2/4) AWS Route53 DNS 요청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만들기

AWS Route53 DNS 요청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만들기 #1/4 AWS Route53은 Authoritative DNS로도 사용될 수 있고 Dynamic DNS 혹은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er)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쿼리 수량에 따라..

ondemand.tistory.com

 

 

(#3/4) AWS Route53 DNS 요청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만들기

AWS Route53 DNS 요청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만들기의 세번째 포스팅입니다. 네번째까지 구성되어 있는 컨텐츠이지만 내용들은 짧막 짧막하니 아는 부분은 팍팍~ 넘어가시고 막히는 부분들을 확

ondemand.tistory.com

 

(4/4) AWS Route53 DNS 요청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만들기

여기까지 잘 따라오셨나요? Subscription filter도 설정했으니 이제 끝이야!! 라고 하기에는 아직 할 일이 조금 남아 있습니다. 필요한 준비는 대충 되었지만 실제로 Elasticsearch에 접근하기 위한 계정

ondemand.tistory.com

 

AWS에 대한 체계적인 공부가 필요하다면 아래의 Udemy 강의를 추천드립니다!

 

[NEW] Ultimate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 2021

Pass the Amazon Web Service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CLF-C01 exam, Practice Exams included with explanations!

www.udemy.com

 

본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을 통해 소정의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728x90
728x90

파이썬을 이용한 머신러닝 학습을 하다보면
여러가지 알고리즘을 구현한 패키지를 많이 쓰게 됩니다. 
알고리즘 자체를 이해하고 구현하려는 것이 아닌 이상
잘 정비되어 등록된 패키지를 쓰는 것이 훨씬 유용합니다.

그 중 하나가 LightGBM으로 Gradient Boosting Model 알고리즘의 구현체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Light 가 붙어 있기 때문에 
최대한 가볍고 빠르게 GBM 알고리즘 방식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 입니다. 

여튼, 참 좋은 물건이지만 가끔 pip로 설치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설치가 잘 안되는 경우 직접 코드를 다운로드 받아 빌드할 필요가 있습니다. 

설치방법 #1. pip install lightgbm

가장 기본적인 설치방법입니다. 
pip를 이용해서 lightgbm 을 설치하는 방식이죠. 
네, 이걸로 잘 되기만 했다면 이 포스팅을 쓰고 있지도 않을 것 같습니다 ㅎㅎ

pip install lightgbm

 

설치방법 #2. homebrew를 이용한 설치 (macOS)

제가 mac을 쓰고 있어서...homebrew 를 이용한 설치 방법도 정리해 봅니다. 
homebrew 에서도 패키지 이름이 lightgbm 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brew install lightgbm 명령을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brew install lightgbm

설치방법 #3. GitHub에서 소스코드 받아서 빌드하기

#1, #2의 방법으로 설치가 잘 되지 않았다면 GitHub에 업데이트 된
lightgbm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받아 cmake나 gcc로 빌드할 수도 있습니다. 

////////////////////////////////////// using cmake 
// Install CMake, if not installed
brew install cmake

// Install OpenMP
brew install libomp

// Build and Install
git clone --recursive https://github.com/microsoft/LightGBM
cd LightGBM
mkdir build
cd build
cmake ..
make -j4

////////////////////////////////////// using gcc
// Install CMake, if not installed
brew install cmake

// Install gcc
brew install gcc # -> CHECK GCC VERSION!!

// Build and Install
git clone --recursive https://github.com/microsoft/LightGBM
cd LightGBM
export CXX=g++-7 CC=gcc-7  # -> USE INSTALLED GCC VERSION!!
mkdir build
cd build
cmake ..
make -j4

 

제 경우는 #3의 cmake 활용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었습니다. 
즐거운 머신러닝 학습 되시길 바랍니다~!

더 자세한 소스 기반 빌드는... 아래쪽입니다!

 

Installation Guide — LightGBM 3.3.2.99 documentation

© Copyright 2022, Microsoft Corporation. Revision 32a7f10d.

lightgbm.readthedocs.io

 

728x90
728x90

서버를 운영할 때 중요한 것중 하나가 디스크가 꽉 차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입니다. 
디스크가 꽉 차게 되면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이 오동작 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로그인이 어려워질수도 있습니다. 

디스크 용량 확인

디스크가 꽉 찼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df 명령을 사용합니다.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vda2        40G   40G  372M 100% /
devtmpfs        1.9G     0  1.9G   0% /dev

 

이제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 파일을 찾아보겠습니다.

폴더별 용량 확인

루트 경로에서 du 명령을 사용해 폴더별 사용량을 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
미쳐 캡쳐하기 전에 파일을 삭제, 정리하는 바람에 아래 예제에는 큰 용량의 파일이 보이진 않네요

$ sudo du -sh * | sort -hr
3.8G    usr
1.9G    var
1.6G    home
218M    opt
205M    boot
200M    run
35M     etc
764K    tmp
196K    root
0       sys
0       srv

파일 삭제 후에도 용량이 안늘어난다면?

간혹 파일 삭제 후에도 용량이 확보되지 않을때가 있습니다. 
이 경우 활성 프로세스나 좀비 프로세스가 파일 디스크립터를 들고 있어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때는 lsof 명령을 이용해 문제가 되는 프로세스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 /usr/sbin/lsof / | grep deleted
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OFF    NODE NAME
...

PID 컬럼에서 프로세스 ID를 확인한 후 ps 명령으로 재차 확인을 합니다. 
문제의 프로세스를 kill -9 #PID# 등의 명령으로 종료한뒤
lsof 명령을 다시 실행하면 문제의 FD 들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kill -9 12345
$ /usr/sbin/lsof / | grep deleted

이후 df 명령을 사용해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면
공간이 확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vda2        40G  7.8G   33G  20% /
devtmpfs        1.9G     0  1.9G   0% /dev

 

Udemy의 리눅스 커맨드라인 부트캠프 강의로 리눅스 기초 체력을 향상시켜 보세요!

 

【한글자막】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

커맨드 라인 고급 사용자로 거듭나기! 이 코스에서 배우는 커맨드를 통해 컴퓨터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변경하여 모든 새로운 워크플로우와 전략을 사용하고, 컴퓨터를 다루는 데에 있어 여

www.udemy.com

 

본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을 통해 소정의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728x90
728x90

React를 공부하고 있는 중입니다.
React를 공부하려다 그동안 확바뀐 Node.js 까지 익히는 중입니다 ㅎㅎ
npm의 유틸리티중 하나인 npx를 이용해서 create-react-app 패키지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한 보일러 플레이팅을 하는 것이 보고 있는 책의 예제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언제나 그렇듯이) 개발 환경 구성부터 산넘어 산입니다. 
오늘 만난 에러는 npx를 이용한 React 보일러 플레이팅 중 발생했습니다. 

% npx create-react-app test
npm ERR! cb.apply is not a function

npm ERR! A complete log of this run can be found in:
npm ERR!     /Users/nopd/.npm/_logs/2022-02-05T17_54_47_354Z-debug.log
[ 'create-react-app@latest' ] 설치가 오류 코드 1로 실패했습니다

뭔가 발음하기에도 거시기한 cb.apply가 함수가 아니라는 에러!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함수를 함수라 부르지 못하는 것인가 싶었지만 차치하고...
몇 군데 검색을 해봐도 딱히 쓸만한 방법을 찾질 못했습니다. 

구글 검색에서 걸린 것들은 대부분, 
- node_module 관련 경로를 다 지우고 다시 해봐라 
- node 버전을 올려라 
- 캐시를 지워라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안타깝게도 전부 저한테는 쓸모가 없었습니다. 

뭐가 문제일까 하다가 발견한 것이 Mac 환경에서 brew로 설치한 패키지들과 
설치된 경로를 알긴 어렵지만, 여튼 설치되어 있는 node 관련 패키지들이
서로 다른 경로에 있지만 후자가 우선순위를 갖게 되면서 문제처럼 보였습니다. 

사실 create-react-app 을 설치하기 전에도 
node의 버전이 brew에서 확인되는 것과 다르네? 하면서
/usr 하위에 만들어져 있던 심링크를 삭제했던 기억이 뇌리를 스쳤습니다. 

혹시 npx도..!?!?!?!?!

정답이었습니다. 
brew로 최신 버전의 npx를 설치했지만, 
이는 which npx 로 확인했을 때의 경로와 차이가 있었습니다. 

// #################### BEFORE
% which npx
/usr/local/bin/npx

// #################### AFTER
% which npx
/opt/homebrew/bin/npx

그렇습니다.
brew는 독립적인 생명체라, /opt/homebrew/bin 하위에 패키지를 저장하고 있었습니다.
원래 /usr/local/bin 경로에 있던 npx를 과감하게 삭제하니 모든것이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

% npx create-react-app test
Need to install the following packages:
  create-react-app
Ok to proceed? (y)
npm WARN deprecated tar@2.2.2: This version of tar is no longer supported, and will not receive security updates. Please upgrade asap.

Creating a new React app in /Users/nopd/dev/clonecoding_practice/test.

Installing packages. This might take a couple of minutes.
Installing react, react-dom, and react-scripts with cra-template...


added 1365 packages in 47s

169 packages are looking for funding
  run `npm fund` for details

Initialized a git repository.

Installing template dependencies using npm...
npm WARN deprecated source-map-resolve@0.6.0: See https://github.com/lydell/source-map-resolve#deprecated

added 33 packages in 2s

169 packages are looking for funding
  run `npm fund` for details
Removing template package using npm...


removed 1 package, and audited 1398 packages in 1s

169 packages are looking for funding
  run `npm fund` for details

8 moderate severity vulnerabilities

To address all issues (including breaking changes), run:
  npm audit fix --force

Run `npm audit` for details.

Created git commit.

Success! Created test at /Users/nopd/dev/clonecoding_practice/test
Inside that directory, you can run several commands:

  npm start
    Starts the development server.

  npm run build
    Bundles the app into static files for production.

  npm test
    Starts the test runner.

  npm run eject
    Removes this tool and copies build dependencies, configuration files
    and scripts into the app directory. If you do this, you can’t go back!

We suggest that you begin by typing:

  cd test
  npm start

Mac 환경에서 brew를 이용해서 node를 설치했고 
혹시나 pkg 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적이 있는 것 같은 기억이 있다면 
포스팅에 소개한 방법을 이용해 평안한 하루를 만드시기 바라겠습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