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728x90
윈도우 모바일 6 부터 기본적으로 SQL Server 2005 Compact Edition (이하 SQL CE)가 기본적으로 OS 이미지에 올라가 있습니다. 배포하는 과정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보니 이전보다 개발자들이 SQL CE를 자주 쓰는 듯한 요즈음입니다. 하지만 몇가지 이유들로 인하여 데이터 엑세스시에 Not Enough Storage 에러를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윈도우 모바일 6 의 DLL 메모리 적재 방식

모든 문제점들의 원인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기본적으로 윈도우 모바일 6가 DLL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방식에 대하여 한번 집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SQL CE 팀블로그에 올라온 포스팅(http://blogs.msdn.com/sqlservercompact/archive/2007/10/26/troubleshooting-can-t-load-sqlce-dll.aspx) 에서 해당 내용을 발췌해 봤습니다.

When a DLL is loaded in one process, Windows CE reserves that address space in every process address space. Multiple processes that use the same DLL share it at the same relative address in every process. If your application does not use the same DLL, it cannot use the memory that is reserved for that DLL. In other words, Windows CE does not map a RAM-based DLL at an address where another process maps another DLL. For example, if Process A loads DLL X at address 0x00970000, Windows CE does not map DLL Y in the Process B address space at 0x00970000. Instead, Windows CE seeks the next lower address that is available, depending on the size of DLL Y. So if DLL Y is in the size range of 128 KB, Windows CE selects 0x00950000 if that address is available for Process B. Because of the way that Windows CE allows processes to share a common DLL, Windows CE does not permit two different processes to load two different DLLs at the same relative address of each process.

당연할 이야기일지 모르지만 서로 다른 DLL 에게 동일한 메모리 어드레스를 할당하지 않는 다는게 요입니다. 당연한 이야기도 한정된 메모리 영역을 가지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넘어오면 치명적인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여러개의 분산된 DLL 을 동적으로 로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다고 가정하면, 모든 DLL 들은 자신의 용량과 관계없이 최소한의 메모리 이격을 둔채 (본문에서 128KB) 메모리를 할당받게 될 것입니다. 이는 곳, 메모리 영역이 금방 소진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닷넷 컴팩트 프레임워크와 메모리 적재 방식의 상관관계

컴팩트 프레임워크를 포함한 모든 닷넷 프레임워크는 관리코드 (Managed) 사용시에 자동으로 GC (Garbage Collector)가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 영역의 객체 인스턴스를 해제하고 자원을 해제시킵니다. 그런데 컴팩트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는 SQL CE 관련 객체들에 자원 해제와 관련한 내부적인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 http://support.microsoft.com/kb/824462, SqlCeCommand objects are not automatically disposed if you use a SqlCeDataAdapter object)

If you use the SqlCeDataAdapter object to populate a DataSet object, and you do not explicitly call the Dispose method for all the associated SqlCeCommand instances, you may receive the following error message:
Error Code: 8007000E
Message: Not enough storage is available to complete this operation.
Note The type of SqlCeCommand instances may be select, insert, update, or delete.

쿼리문 할당을 위해 사용한 SqlCeAdapter.SelectCommand, SqlCeAdapter.InsertCommand, SqlCeAdapter.UpdateCommand, SqlCeAdapter.DeleteCommand 객체가 할당된 SqlCeCommand 객체를 명시적으로 소멸(Dispose) 시켜줄 것을 권고 하고 있습니다. 추측컨데, 데이터 Row가 많은 자료의 경우 데이터를 Insert 하면서 객체를 소멸시키지 않고 반복적으로 루프문에서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 과정에서 메모리에 계속 새로운 영역들이 Reserve 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다만 의아한 것은 이러한 에러가 발생한 시점에 메모리 용량을 점검해보면 수십메가 이상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아마도 실제 메모리가 소모되어 발생했다기 보다 메모리 주소를 더이상 Reserve 할 수 없어서 발생하는 것이지 싶습니다.

참고자료

- INFO: Understanding Windows CE DLL Load Failures (http://support.microsoft.com/kb/326163)
- Methods to dispose of SQL Server CE, SQL Server 2005 Compact Edition, or SQL Server 2005 Mobile Edition managed objects from memory (링크)
- SQL Mobile 2005 - Error : Not Enough Storage is Available (링크)
728x90
728x90

터미널 서버의 설치를 마치고 서버를 재부팅 하고 나면 잠시 변경된 내용이 적용되고 다시 서버 환경으로 로그인을 할 수 있다. 서버 관리자를 실행하고 설치한 터미널 서버 역할이 잘 정의가 되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전에 항목이 0개였던 역할 노드에 터미널 서버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우측의 Detail 팬에서도 해당 내용을 같이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왼쪽의 노드 트리를 유심히 보면 처음 보는 용어가 위치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름하여 "TS RemoteApp"이다. TS RemoteApp 은 윈도우 서버 2008 에서 터미널 서버가 갖고 있는 기본 기능이다. Citrix의 Presentation 서버 (MetaFrame) 를 들어본 적이 있다면 익숙할 Seamless 환경을 지원하던 Presentation 서버의 Publish 기능을 알고 있을 것이다. 퍼블리싱 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PC 에서 마치 로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처럼 구동되는 모습에 많이들 감탄했을 것이다.

TS RemoteApp 은 Citrix와 같은 솔루션의 도움 없이 윈도우 서버 2008과 터미널 서버 역할 만으로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 준다. 강력한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공통 어플리케이션을 서버에 설치하고 RemoteApp 으로 제공하면 일종의 SaaS (Software as a service) 개념이 가미된 사용자 컴퓨팅 환경을 구성할 수 있게 된 것이다.

RemoteApp 프로그램 추가

서버 관리자에서 터미널 서버 노드를 선택하면 제일 오른쪽에 위치한 작업팬에 사용자가 할 수 있는 몇가지 액션에 대한 기능들이 보인다. 그 중 맨위에 위치한 "RemoteApp 프로그램 추가" 기능을 통해서 서버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터미널 서버 RemoteApp 으로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추가하기 전에 배포할 어플리케이션이 서버에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하도록 하자.

기능을 실행하면 무척 간단한 마법사가 어플리케이션 배포를 도와준다. 특별한 설정이 필요 없다면 무조건 "다음"만 선택해도 되지만 처음 RemoteApp 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한다면 어떤 설정들을 할 수 있는지 간단하게 살펴보는 것도 좋다.

마법사의 두번째 화면은 정상적인(?) 방법으로 설치되어 윈도우의 프로그램 관리자가 설치 / 제거를 지원할 수 있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목록에 출력된다. 만약 특별한 설치과정이 제공되지 않고 Stand-Alone 으로 설치된 프로그램을 배포하고자 한다면 "찾아보기" 기능을 이용해서 직접 실행파일을 배포해도 상관없다. 이쯤에서 아이디어가 떠오른 사람도 있겠지만, PDF 와 같은 문서파일을 RemoteApp 으로 배포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정책이라던가 일정 처럼 공유되어야만 하는 정보를 넘길수도 있을 것이다.

마법사를 통한  간단한 설치 절차가 끝나고 나면 중앙의 팬 하단에 RemoteApp 프로그램 목록에 설정한 프로그램이 등록된다. 등록한 이름과 경로, TS 웹 액세스, 인수 등의 항목이 보이는데 TS 웹 액세스에 관해서는 다음 아티클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RemoteApp 프로그램에 대하여 관리자가 할 수 있는 작업 목록이 팝업된다.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들이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다음 아티클에서 소개할 TS 웹 액세스가 가장 진보된 형태의 배포 및 액세스 방법이다. 아직 웹 액세스는 설치하지 않았으므로 RDP 파일과 MSI 파일로 배포하는 방법을 볼 까 한다.

RDP 파일은 일반적으로 터미널 서버 액세스를 위해 RDP 설정 파일을 만들어 주는 것과 동일하다. MSI 파일형태로 만들게 되면 사용자 PC 에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과 동일한 (즉, 프로그램 추가 제거에서 RemoteApp 어플리케이션을 제거할 수 있는 형태) 방식으로 설치가 된다. 다만, 이 두가지 방법의 단점은 사용자에게 RDP 파일 혹은 MSI 파일을 배포해야 하기 때문에 1) 공유폴더를 통한 배포, 혹은 2) 액티브 디렉토리 정책을 통한 배포를 해야만 한다. 테스트 환경은 AD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공유폴더를 통해서 MSI 파일을 배포해 보았다.

 

배포된 MSI 파일을 설치하고 나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PC 에 "원격 프로그램" 이라는 프로그램 그룹이 생성되고 그 하단에 배포되는 모든 RemoteApp 프로그램이 설치된 모습이 보인다. 물론, 마법사를 통해 MSI 패키징을 하는 과정에 다른 경로나 이름을 지정했다면 그 설치 위치는 달라졌을 것이다. RDP 파일을 배포하는 경우는 이러한 절차나 모습없이 RDP 파일을 직접 더블클릭해서 RemoteApp 을 구동시키게 된다.

설치된 RemoteApp 구글 어스를 실행하면 위의 사진처럼 마치 로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과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Seamless 방식으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기 때문이며 사용자의 높은 데스크탑 사용자 경험을 느낄 수 있는 방식이다. RemoteApp 은 Citrix의 Presentation 서버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예>로드밸런싱, 어플리케이션 격리화 환경 등) 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중소규모의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해서 업무에 응용해서 사용할만한 매력적인 기능임에는 틀림이 없다.

- NoPD -

728x90
728x90

윈도우 서버 2008 (이하 WS2008 혹은 W2K8) 이 등장하면서 터미널 서버 및 터미널 서버 클라이언트에 다양한 변화가 생겼다. 윈도우 비스타가 등장하면서 알려진 내용들도 많지만 터미널 서버 측면에서 변화된 내용도 많기 때문에 꼼꼼히 살펴보지 않으면 멋진 기능들과 강력해진 기능들을 제대로 활용하기 힘들 수도 있다. 터미널 서버의 설치부터 다양한 옵션, 각 옵션이 가지는 의미들을 하나씩 살펴보면서 강력해진 터미널 서버의 진면목을 하나씩 알아보려고 한다.

터미널 서버는 하나의 "역할"

WS2008이 등장하면서 새롭게 등장한 용어가 "역할" 이다. 영문 버전에서 Role 로 되어 있는 용어인데, 많은 기능들이 컴포넌트화 되어 레고 블럭처럼 조립할 수 있는 형태로 WS2008에서 제공된다. 터미널 서버 역시 이러한 컴포넌트로 분류되어 기본적으로 설치 가능한 16개의 역할중 하나로 구분된다. 서버관리자의 역할 노드를 선택하면 우측에 역할 추가 버튼이 보이게 된다.

WS2008 에서 제공되는 16개의 항목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전에 윈도우 기능 추가/제거에서 선택할 수 있었던 항목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우리는 터미널 서버에 관한 역할을 설치할 것이므로 밑에서 세번쨰의 터미널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고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도록 하자.

이전까지 터미널 서버에 대해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그러나 WS2008 부터 새롭게 제공되는 터미널 서버 관련 기능들이 무척이나 많다. 새로운 터미널 서버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고 나머지 TS의 서비스들에 대해서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하자. 일단 터미널 서버만 선택하고 계속 진행하자.

응용 프로그램 호환성과 관련한 경고 메세지를 읽을 수 있는데, 이전 버전의 터미널 서버에서도 역시 비슷한 유의 사항이 있었다. 다만 이렇게 안내가 되었던 것은 아니고 암암리에 그래야만 한다고 널리 알려져 있었다. 경고 문을 가볍게 읽고 넘어가면 더 많은 글자가 화면에 등장하며 우리를 압박한다. 윈도우 비스타, WS2008 등 최신 운영체제에만 해당되는 내용인데 네트워크 수준 인증 (NAP, Network Authentication Protection) 을 쓸 것인지에 관한 설명이다. 보안적인 측면에서 고려해 볼때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모든 클라이언트가 윈도우 Vista 이상의 최신 OS가 아니면 필요 없음을 선택해야 터미널 서비스에 모든 사용자들이 접속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서 선택하도록 하자.

너무나 익숙한 내용의 라이선스 모드 선택 화면이다. 장치 단위의 라이선스 모든는 터미널 서비스 라이센스 (TS Client Access License) 가 하드웨어 단위로 발급되는 모드이고 사용자 단위 라이센스는 로그인하는 사용자에 따라 라이센스가 발급되는 모드이다. 우리는 일단 라이센스도 가지고 있지 않고 ^^; WS2008 을 학습하는 과정이므로 "나중에 구성"을 선택하도록 하자. 라이센스 서버 없이 장치, 사용자 단위 모드를 선택한 경우 끊임없는 경고 팝업에 시달릴 수 있으니 조심하자.

윈도우 서버 2003 이후부터는 Remote Desktop Users 라는 터미널 서비스 사용자 전용 유저그룹이 사전에 정의가 되어 있다. 즉, 사용자를 해당 그룹에 포함시키는 것만으로 터미널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줄 수 있게 되었다. 이미 정의된 사용자 그룹이나 사용자가 있다면 이 단계에서 추가해줘도 되지만, 나중에 별도로 Remote Desktop Users 그룹에 넣어줘도 상관 없으므로 무시하도록 하자. 여기까지 설정이 끝나면 마지막으로 선택한 옵션들에 대한 요약 정보를 확인하고 터미널 서비스 설치를 시작할 수 있다.

터미널 서버의 설치는 윈도우의 로그인 체계에 변화가 생기는 부분이기 때문에 서버를 재부팅 해야만 한다. 복잡해 보이지만 Next 버튼만으로도 충분히 정복이 가능한 설치 과정이다. Next 를 무작정 누르기 보다는 각 화면에서 WS2008 이 묻고 있는 선택 항목들이 어떤 영향을 줄 수 있고 무엇을 고민해야만 하는 것인지를 잘 생각하고 진행한다면 번거로운 설치/제거 작업 없이 한번에 훌륭하게 설치를 마칠 수 있을 것이다.

- NoPD -

728x90
728x90

IDC 에서 근무하는 사람이거나 수많은 서버로 구성된 Farm 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많은 고충중 하나는 개별 서버들의 접속 정보를 관리하고 데스크탑에서 가장 손쉽고 편리하게 연결하고 관리하는 방법이 없을까 하는 것이다. NoPD는 IDC 에서 근무하지는 않지만 3년동안 글로벌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진행하다 보니 IP 주소조차 변화무쌍한 많은 서버들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적당한 프로그램이 없을까 하고 고민의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NT 서버 운영자들이 자주 들르는 ServerInfo 사이트 (http://www.serverinfo.pe.kr) 에 게시물들을 검색해보니 아니나 다를까 운영자님의 친절한 안내로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이 소개되어 있었다. 다양한 OS와 프로토콜을 아우를 수 있는 도구를 찾아보니 가장 적당한 것이 바로 "mRemote" 라는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한 몇가지 조건이 있는데,

- Windows XP 이상의 Windows 계열 OS
- .NET Framework 2.0 이상 버전의 풀 패키지 혹은 Runtime 모듈 설치
- RDP 접속이 필요한 경우, Remote Desktop Connection Client 6.0 이상 버전 설치
- SSH 등의 보안된 텔넷 접속이 필요한 경우 PuTTY 설치 필수
- Citrix Presentation Server 접속을 위한 ICA Client 설치

...정도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다. 위의 조건중 프로토콜이 관련된 항목들은 개인의 필요에 따라서 취사선택하여 설치하면 되는 부분이다. 이쯤되면 이 프로그램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대충 감이 오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 이 프로그램은 흩어져 있는 다양한 원격 서버 접속 프로그램 및 방법들을 하나의 Form 안에서 통합 관리하고 탭을 이용하여 여러 윈도우 창을 열 필요없이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인 것이다.

 

왼쪽 편에 위치한 Connections 팬에 우선 서버의 접속 정보 노드를 등록하는 것으로 설정 작업이 시작된다. 편리하게도 Connections 팬의 폴더 단위로 XML 형태의 접속정보 백업이 가능하다. 물론 패스워드는 MD5 암호화가 되기 때문에 mRemote 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Connections 노드를 만들면 하단의 Config 팬에서 IP, 계정, 비밀번호, 도메인 등의 필요한 정보 설정이 가능하다. 각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은 간단하게 Connections 탭의 노드를 더블클릭하면 된다. 개별 서버 및 프로토콜 별로 오른쪽 메인 스크린에 탭 형태로 접속된 화면이 보여지게 된다.

개발자라면 최소한 웹서버 여러대와 DB 서버등을 접속해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아름답게 탭 단위 관리가 되는 모습이 기쁘다 못해 진한 감동으로 다가온다. 프로그램도 여러번의 버전업을 거치면서 꽤나 안정된 모습이고 오픈소스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소스코드를 참조하여 나만의 원격 서버 접속 통합 관리도구를 만들어 볼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 관련된 자료를 보기 위해서는 공식 웹사이트 (http://www.mremote.org/)를 방문하거나 SourceForge 에서 mRemote 를 검색해보면 된다.

- NoPD -

728x90
728x90

기간계로 SAP 연동하는 프로젝트를 몇년째 하다보니 SAP 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요즘 부쩍 많아졌다. 오죽하면 같이 프로젝트중인 닷넷 개발자분은 2주동안 빡시게 스터디해서 ABAP 을 완전히 습득했겠는가! (워낙에 프로그래밍에 감각있는 분이시긴 하지만...) 그동안 만났던 ABAP 개발자분들이 항상 너무 헤매는 모습을 참다못하고 저지른 일이겠지만, 전화위복으로 적(?)의 급소를 진단해 줄 수 있는 역량이 되신것 같아서 앞으로 협업하기 무척 좋을 것 같지 않을까 싶다.

NoPD는 무엇을 공부해야 할까 고민을 하다가 때맞춰 차기 프로젝트로 SAP ERP의 특정 모듈쪽을 연동해야 할 것 같은 분위기가 감지되어 (그동안은 사실상 기본 모듈이 아닌 모듈 1%, 사용자 정의 함수, 펑션과 씨름했었다는...) 하나씩 내용들을 정리해 나가볼까 한다. 물론 SAP 컨설턴트나 개발자가 되려는 것이 아니라 내가 인터페이스 해야 하는 시스템으로 종종 등장하는 녀석이라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의 심정으로 넓게 스터디 해보려는 것으로 목표를 한정지을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워낙 방대한 녀석이라 깊게 공부하기엔 본업(닷넷)에 대한 충실도가 너무 낮아서...)

회계관련 모듈

FI (Financial Accounting) - 재무회계
CO (Controlling) - 관리회계 (원가관리, 수익성분석, 사업계획, 예산관리)
TR (Treasury) - 자금관리

물류관련 모듈

SD (Sales and DIstribution) - 판매 및 영업관리 (주문관리, 가격관리)
MM (Materials Management) - 구매 및 자재관리
PP (Production Planning) - 생산관리
QM (Quality Managment) - 품질관리
PM (Plant Mainatenance) - 설비관리
LE (Logistics Execution) - 출하 및 배송업무, 창고관리

인사관련 모듈

HR (Human Resources) - 인사관리, 교육 및 평가, 수수료

공통모듈

PS (Project System) - 프로젝트 관리
OC (Office Communication) - 사무자동화 (WF -Work Flow- 라고도 부름)
IS (Industry Solutions) - 업종별 솔루션

그동안 늘 RFC 레이아웃만 바라보고 Proxy 만들어서 인터페이스만 했기 때문에 갑자기 '모듈' 이라는 용어를 들으니 살짝 긴장이 된다. 이름에 익숙해 지는 것이 첫번째 이겠지만 보다 자세한 모듈별 설명이 나와 있는 링크를 찾아서 공유해 본다. WikiPedia는 너무 방대해서 천천히 살펴봐야 할 것 같다.

Pcguy7 님의 SAP 모듈 설명 스프링노트
WikiPedia의 SAP R/3 사전

- NoPD -

 

728x90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주일동안 짬짬이 시간내서 만들어본 me2day 매시업 서비스, me2answer 를 공개합니다. 워낙에 짧은 시간에 설레설레 만든 사이트와 프로그램이라 아직 버그도 많고 뭔가 부드러워 보이지는 않지만 이런 매시업도 만들 수 있구나~ 하고 생각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짧은 시간에 만들려다 보니 여기저기서 도용한 코드들이 많은데요, 스타일 시트, 이미지 소스등은 me2day의 " 그것들 " 을 참고했습니다. 관련 매시업 서비스니 양해해 주시리라 믿습니다! 하핫.

간단한 컨셉을 먼저 설명드리자면 me2day 의 짧은 글들과 답글을 이용한 질문답변 서비스 입니다. 아시는 분은 다들 아시겠지만 NoPD는 그렇게 부지런하고 총명한 아이디어의 청년이 아닙니다. twitter 를 이용한 유사한 서비스를 보고 " 나도 한번 만들어 볼까? " 하는 욱한 심정에 뚝딱 만든 서비스입니다. 아이디어에 대한 도용 댓가는 뭘로 치뤄야 할지 모르겠으나, 모든 아이디어의 출발은 모방에서 나온다~ 하고 이해해 주리라 믿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e2answer 를 사용하시려면 우선 간단한 등록 절차를 마치셔야 합니다. me2day ID 와 (예>me2day.net/nopd 라면 nopd 가 됩니다) API KEY (미투데이의 환경설정에 가시면 찾을 수 있습니다) 를 넣으시고 비밀번호를 설정하시면 간단히 등록절차가 끝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등록이 완료되면 이제 미투데이에서 궁금한 질문을 올리시면 됩니다. 태그로 " 질문 " 을 지정해 주셔야 하는데, 매 5분마다 웹서버에서 크롤러가 가입된 사용자들의 포스팅을 검색하여 질문을 모아 옵니다. 이렇게 모아진 질문을 화면에 표시되고 댓글은 me2day 와 me2answer 양쪽에서 받으실 수 있게 됩니다. me2day 가 가입형 서비스이다 보니 익명의 답변을 받을수는 없고 가입된 사용자들로 부터 댓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살다보면 참 궁금한 것들이 많이 있는데 네이버 지식인에 올리자니 광고나 엉뚱한 퍼다나르기 답변이 짜증나고 그냥 너무 간단해서 한줄로 답변 받고 싶으실 때, me2answer 가 그런 역할을 해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능도 몇 없고 너무 간단한 매시업이지만 소프트뱅크 미디어랩의 황재선님의 " 우리나라는 모방한 Web 2.0 서비스를 찾기도 힘들다 " 라는 말에 삘받아서 한번 만들어 봤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NoPD -

2008/08/11 - [Development/.Net Framework] - 닷넷 me2day OpenAPI 라이브러리 v1.0.1




728x90
728x90

* 본 문서는 마이크로소프트 가상화 웹사이트에 게시된 "Flexible Desktop Computing 백서"를 번역 및 의역한 글입니다. 번역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이나 문제가 될만한 부분은 지적해 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까지 특정한 사용 환경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컴퓨팅 옵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에 따르면, 주어진 사용자 시나리오의 요청을 감안하여 적절한 컴퓨팅 옵션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수 있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형화된 사용자 프로파일이나 개인에 따라 어떤 컴퓨팅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릉 위해서 이번 포스팅은 여러 정형화된 사용자 시나리오를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알아보겠다 : 1. 모바일 정보 사용자, 2. 오피스 정보 사용자, 3. 파워 유저, 4. 현업 사용자. 이러한 사용자들이 모든 기업의 여건을 나타내 주는 것은 아니므로 컴퓨팅 옵션을 선택하는 좋은 예로써 참고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각각의 사용자를 간단하게 적어보면

1. 모바일 정보 사용자

이 부류의 사용자들은 출장이나 외근이 잦은 사용자 층이다. 사용자들은 로컬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오피스, CRM, ...)을 사용하며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엑세스 할 수 있어야 한다. 영업사원이나 기업의 임원들이 이러한 사용자의 대표적인 예이다.

2. 오피스 정보 사용자

이 부류의 사용자들은 업무시간의 대부분을 네트웍에 연결된 상태에서 보내고 자신에게 주어진 다양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리치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는 계층이다. 이들은 오피스, CRM, ERP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주로 사용하며 웹이나 프로젝트 관리 도구등도 사용한다. 때에 따라서 사용자들은 집에서 그들의 회사 데스크탑에 연결하거나 현업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싶어한다. 전형적인 사무실 근무자가 이 계층에 속한다.

3. 파워 유저

파워 유저는 회사 네트워크 안에서 높은 수준의 특화된 현업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 이들에게는 신뢰성 있는 엑세스를 제공하는 고성능, 고가용성 컴퓨팅 솔루션이 필요하다. 많은 파워 유저들은 종종 한곳에서만 작업하는게 아니라 사무실 여기 저기에서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원하기 때문에 "자유석(Free Seating)" 환경이 필요하다. 재무 관계자나 CAD 디자이너,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파워 유저 계층에 속한다.

4. 현업 사용자

현업 사용자는 데이터 입력 작업이 주된 업무이다. 이들은 몇 안되는 현업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회사의 네트워크 범위 안에서 업무를 본다. 일반적으로 고성능의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지 않지만 파워 유저와 마찬가지로 사무실 여기저기를 옮겨 다니면서 일을 하는 계층이다. 콜센터 에이전트 라던가 은행 창구 직원, 공장 근로자, 캐시어등이 현업 사용자를 대표하는 예이다.

각각의 사용자 계층은 특화된 컴퓨팅 파워 혹은 컴퓨팅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사용자들의 니즈를 만족시켜 주기 위하여 IT 조직이 할 수 있는 내용들을 앞서 포스팅한 Flexible Desktop Computing 기술들과 매핑하면서 어떠한 기술을 어떠한 사용자층에게 제공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 NoPD -

728x90

+ Recent posts